관계형데이터 베이스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위한 끄적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고정
- 데이터스토리지
- AWS RDS, AWS Aurora
- 엄격한 데이터 품질이 요구된다.
- 과도한 읽기/쓰기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없음, 동적으로 설정 가능
- 키-밸류 쌍, 와이드 칼럼, 그래프, 문서 또는 다른 모델
- DynamoDB, ElasticCache
- 데이베이스 크기를 수평으로 조정 할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면 좋은점은?
- 물리적인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 전력, HVAC, 네트워킹, 랙설치, 서버 유지관리(여기까지 AWS 영역)
- OS 유지보수 , 데이터베이스 설치, 백업, 고가용성, 크기조정 등등..(AWS 서비스의 영역 AWS RDS...)
-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최적화만 신경쓰면 된다.
AWS RDS는?
- 자동으로 다중 AZ 데이터 복제
- 장애 발생을 위해 대비, 성능향상은 없음
- 프라이머리 하나에 최대 5개의 레플리카 생성 가능
- 컴퓨팅 및 스토리지 크기 조정
- 최소한의 애플리케이션 가동 중단
- 저장 시 및 전송 중 데이터 암호화
- 모니터링 기본 제공
- 엔진 종류
- Aurora ,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 SQL Server
Aurora
- 클라우드를 위해 구축된 MySQL 및 PostgreSQL 호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Aurora Serverless v2
DynamoDB
- 완전 관리형 NoSQL
- 인스턴스 타입대신, RCU와 WCU 수치를 설정한다.
데이터베이스 읽기 성능 향상 방법
- 메모리 캐시를 활용
- 쿼리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데이터
-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 비겨적 정적 상태로 유지되는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