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개발일지

[Keycloak.part1] Keycloak을 설치해서 로그인을 해보자(3분)

유어노우 2024. 5. 4. 01:59

OS: Mac OS

Keycloack 오픈소스 버전을 활용해서 SAML 로그인을 구현해 보려고 합니다.

만약 구현에 성공한다면 SAML을 지원하는 많은 IDP적용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간단하게 설치기를 남기려고 합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서 최종 목표를 달성하려고 합니다. 순서는 중간에 변경 될 수도 있습니다.

대략적인 리서치를 끝내고 예상한 단계이기에 내용이 실하지 않으며 때로는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1. keycloak 로컬 설치

2. DB 연결 (postgresql)

3. keycloack 로컬 로그인 구현하기

4. public 서버 배포

5. plublic 서버에서 로그인 구현

 

 

1. Keycloak 설치하기 

Keycloack에서 제공하는 container 이미지로 로컬에 설치해 보겠습니다.

다양한 방식의 설치 방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링크를 접속해서 공식 문서를 따라하셔도 무방합니다(오히려 더 좋음)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초기 id/pw는 admin으로 접속하면 되겠습니다.
접속 주소는 localhost:8080

docker run -p 8080:8080 -e KEYCLOAK_ADMIN=admin -e KEYCLOAK_ADMIN_PASSWORD=admin quay.io/keycloak/keycloak:24.0.3 start-dev

 


아래 화면이 뜬다면 설치에 성공하신 겁니다. 설치는 정말 쉽네요.

 

하지만 이제 서버를 재시작하거나 종료 후 다시 실행한다면 컨테이너 종료와 함께 데이터가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다음 글에서 DB와 연결 시켜 보겠습니다.